본문 바로가기

물리학강의

낮은 자기장에서의 magnetoresistance (feat. Drude model)

낮은 자기장에서의 전도성 측정은 주로 hall measurement에서 일어난다.

낮은 자기장에서의 전도성 측정으로 전자 밀도 (carrier density) ns mobility μ를 알아낼 수 있다. Steady-state에서 전자가 외부 전자기장에 의하여 얻는 momentum비율은 scattering에 의하여 잃는 momentum의 비율과 같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따라서, (τm=momentum relaxation time)

 

vx vy는 각각 xy방향의 drift velocity이며 Ex Ey는 각각 xy방향의 전기장이다.

여기서 전류밀도 J=evdns를 넣어주면

 

σ≡ensμ & μ≡eτm/m 이므로

저항의 tensor는 아래와 같이 정의 되므로

 
아래와 같이 정의 할 수 있다.

Drude 모델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홀 저항(xy or yx방향)은 일정하게 변하지만 xx 방향의 저항은 일정하다는 것을 알수있다.

 

실험으로 확인하는 drude 모델

실험에서 저항 tensor는 사각형으로 만든 샘플에서 측정할 수 있다.

위의 그림1과 같이 준비된 샘플에서 x방향으로 일정한 전류 I를 흘려 보낼 때 x방향의 전압강하를 Vx (= V1 - V2), y방향의 전압강하(홀저항)VH(= V2 – V3)라고 하자.

y방향의 전류는 없으므로 Jy = 0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여기서

이다.

 

또한 ρxx, ρyx x방향과 y방향의 전압과 관련이 있으므로

으로 계산할수있다.

 

 

실제 실험에서의 결과

M. E. Cage, R. F. Dziuba and B. F. Field, "A Test of the Quantum Hall Effect as a Resistance Standard," in IEEE Transactions on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vol. IM-34, no. 2, pp. 301-303, June 1985, doi: 10.1109/TIM.1985.4315329.

 

위 논문에서 네모난 hall bridge의 면적은 W=0.38 mm, L=1 mm이며 전류는 I=25.5 μA이다.

그림에서 보이듯 낮은 자기장에서 Vx는 거의 일정하며 VH는 일정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렇게 실험을 통해 구한 VH를 이용해서 전자밀도 (carrier density)mobility를 구할 수 있다.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다.